이불은 자주 버리는 물건이 아니라 어떻게 버려야 할지 잘 알기 어려운데요. 보통 골목에 있는 헌 옷수거함이나 아파트 재활용 쓰레기 버리는 곳에 버린다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옷이나 신발과 달리 이불은 버리는 법이 조금 다릅니다. 이불 종류에 따라 또 다르기 때문에 그냥 버리시면 수거하지 않거나 잘못하다가 불법투기로 과태료를 물게 되실 수 있습니다. 이불 버리는 방법 도 확인 하시고 좋은 일도 하실 수 있으니 한번 더 확인해보시고 버리시길 바라겠습니다.
1. 의류 수거함
의류 수거함에 이불 버리지 말라고 써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모든 이불이 안 되는 것은 아닙니다. 담요, 누빔이불(솜이 얇은 이불), 요, 패드, 홑겹 이불, 침대 커버 등 침구류 등은 의류 수거함, 헌 옷 수거함에 넣을 수 있습니다.
2. 대형 폐기물
기본적으로 솜 이불은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너무나 따뜻한 거위털, 오리털 이불 또한 재활용이 불가능합니다. 인형, 솜 배게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작은 인형이나 배게의 경우 부피가 작다면 잘라서 종량제 봉투에 같이 버려도 되지만, 아마 대부분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대형 폐기물 신고를 하고 버리셔야 하는데 다이소에서 파는 김장 봉투에 담으면 충분히 들어가니 봉투 사다가 담으시고, 폐기물 신고는 주민센터(동사무소)에 직접 가셔서 스티커 구매하시거나 인터넷으로 ‘사시는 지역 + 대형 폐기물’로 검색하셔서 인터넷으로 폐기물 배출신고 하셔도 됩니다. 금액은 일반적으로 이불 1채에 2천원 ~ 3천 원입니다.
3. 기부
이건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바로 유기동물보호소에 기부하는 것입니다. 유기견뿐만 아니라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도 수건이나 담요가 많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모든 이불류가 가능한 것은 아니고 목화솜, 엄청 두꺼운 솜이불, 오리털, 구스다운, 러그, 카펫(카펫), 여름이불, 베개, 자수, 레이스 장식이 많은 이불 등은 불가능합니다. 물어뜯었을 때 질식사 위험이 생기거나, 여름이불이나 레이스처럼 미끄럽고 발톱이 끼어 다칠 위험이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가능한 이불 종류로는 일반적인 솜이불, 극세사, 면 이불, 담요류, 수건 등이 있습니다. 다만 오염된 상태로는 받는 게 어려우니 세탁은 꼭 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기부처는 아래에 대표적인 곳들 안내드리겠습니다. 주변에 민간 보호소에서도 담요나 수건은 겨울에 특히 많이 필요하다고 하니 기부하실 때 먼저 연락 한번 하셔서 확인해보시고 좋은 일 하시면 좋겠습니다.
보호소 연락처
- 종합 유기견 보호센터
- 홈페이지 : https://www.zooseyo.or.kr
- 충남 야생동물 구조센터
- 홈페이지 : https://cnwarc.modoo.at/
- 전화번호 : 010-6672-8275
- 서울시 야생동물센터
- 홈페이지 : http://www.seoulwildlifecenter.or.kr/
- 전화번호 : 02-880-8659
- 한국동물구조관리협회
- 홈페이지 : https://www.karma.or.kr/
- 전화번호 : 031-867-9119
- 사는 곳 + 유기견(동물) + 보호쉼터 or 보호소 or 보호센터 등으로 구글, 네이버, 당근마켓 등 검색
'일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주요 주가 한번에 보기 HeatMAP 사용법 (0) | 2023.01.05 |
---|---|
구글 애드센스 핀번호 받는데 얼마나 걸릴까 (0) | 2023.01.03 |
2023년 달력 대체 공휴일 황금 연휴 월 별 정리 (0) | 2023.01.01 |
컴퓨터 노트북으로 가능한 디지털 노마드 재택 알바 데이터 라벨링 사이트 모음 (0) | 2023.01.01 |
대학생 방학 단기 알바 추천 생동성 시험 (0) | 2022.10.11 |
댓글